AutoCAD

치수기입

아키곰탱 2018. 8. 8. 10:38
반응형





치수기입




1. 치수 기입의 개념

치수는 도면 요소 사이의 길이, 거리, 각도, 원 또는 호의 지름 또는 반지름을 나타내어 설계자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가공방법, 재료선정 등에도 관련되므로 치수기입은 작업능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.

치수 기입에는 직선 치수기입, 각도 치수기입, 직경 및 반경 치수기입, 종좌표 치수기입이 있으며“명령(Command):" 상태 또는 ”Dim:" 상태에서 명령어를 사용한다.


2. 치수기입


2-1. 치수 기입 용어

도면에 치수를 기입하기 위해서는 치수기입에 관련된 제도 규격이 있으므로 이 책을 보는 대부분의 학생 및 실무자는 기초 제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치수에 관련되어 도면작성에 꼭 필요한 용어들을 익혀 보도록 하자


① 치수선(Dimension Line)

치수를 측정한 영역의 양쪽 끝에 화살표가 붙은 직선이다.


② 치수 보조선(Extension Line)

치수 보조선은 치수기입 할 도면요소로부터 치수선과 수직으로 긋는다.


③ 화살표(Arrowhead)

치수선의 양끝에 기입하며 치수기입 범위가 좁을 경우에는 화살표 대신 Dot 나 Tick를 사용한다.


④ 치수문자(Dimension Text)

측정 영역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숫자로 AutoCAD에 의해 자동 부가되는 고정 값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치수를 입력하여 사용한다.


⑤ 지시선(Leader)

치수문자가 도면요소 안에 기입 될 수 없을 때 보통 45도, 60도의 경사선으로 끌어내어 치수문자 또는 가공방법 등을 기입한다.


2-2. 선형 치수 기입


(1) 수평, 수직 치수 기입 (Dimlinear)


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치수기입을 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선형치수 


명령: DIMLINEAR 또는 dimlin [Enter]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첫 번째 원점(P1) 지정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두 번째 원점(P2) 지정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    → 치수 기입 위치 지정

치수문자=150.00


다중행문자(Mtext)(M)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를 다중으로 사용

문자(Text)(T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 내용 수정

각도(Angle)(A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를 회전 기입

수평(Horizontal)(H)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를 수평으로 기입

수직(Vertical)(V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를 수직방향으로 기입

회전(Rotated)(R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선의 각도를 조절


(보기 1) 도형의 두 점을 이용하여 치수 기입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LIN [Enter]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 끝점 (P1)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끝점 (P2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 (P3)

치수 문자 = 169.6

명령: 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 끝점 (P1)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끝점 (P4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T [Enter]

새로운 치수 문자를 입력 <85.97>: 90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 (P5)


(보기 2) 치수기입 할 도면요소가 하나의 도면요소를 이루어진 경우 한번의 선택으로 치수기입


명령: 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 [Enter].

치수기입할 객체 선택: (S1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 (P1)

치수 문자 = 103.0


명령: 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 [Enter]

치수기입할 객체 선택: (S1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 (P2)

치수 문자 = 65.4


(2) 정렬 치수 기입 (Dimaligned)


수평, 수직 방향이 아닌 정렬된 직선 치수 기입에 사용되는 명령으로 도면요소와 평행하게 치수를 기입하면 기울어진 부분의 치수기입을 한다.


◈ 사용 방법
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정렬 치수 


명령: DIMALIGNED 또는 DIMALI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

치수 문자 = 60.00


(보기 1) 치수기입 부분과 평행한 치수선의 치수기입을 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ALI [Enter]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 끝점 (P1)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끝점 (P2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3 지정)

치수 문자 = 61.75


명령: 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 [Enter]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(S1)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4 지정)

치수 문자 = 58.3


(3) 기준선 치수기입 (Dimbaseline)


수평, 수직치수 기입의 첫 번째 치수 보조선을 기준으로 하는 선형 치수 기입을 한다. 이때 기준치수를 지정 할 때는 반드시 Dimlinear, Dimangular, Dimaligned 명령의 치수기입이 선행되어야 한다.


◈ 사용 방법
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기준선 치수 


명령: DIMBASELINE 또는 DIMBASE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

치수 문자 = 150.00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

치수 문자 = 300.00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 [Enter]


(보기 1) 먼저 선형 치수 기입으로 치수기입을 한 다음 기준선 치수 기입을 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ALI [Enter]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 끝점 (P1) → 첫 번째 원점 지정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끝점 (P2) → 두 번째 원점 지정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3 지정)

치수 문자 = 70.4


명령:  또는 Dimbase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4)

치수 문자 = 145.70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5)

치수 문자 = 222.82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 [Enter]


(보기 2) 바로 전에 작업한 치수기입이 아닌 도면상의 특정 선형 치수기입(S1)에 이어 기준선 치수를 기입한다.


명령: 

기준 치수 선택: (S2)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1)

치수 문자 = 145.7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2)

치수 문자 = 222.8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 [Enter]

기준 치수 선택: [Enter]


(4) 연속 치수기입 (Dimcontinue)


이미 기입된 수평, 수직치수 기입의 두 번째 치수 보조선에 이어서 치수 기입한다. 이때 기준치수를 지정 할 때는 반드시 Dimlinear, Dimangular, Dimaligned 명령의 치수기입이 선행되어야 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기수기입 계속하기 


명령: Dimcontinue 또는 Dimcont [Enter]


(보기 1) 가장 최근에 기입한 선형 치수에 이어서 연속 치수 기입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LIN [Enter]

첫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<객체 선택>: 끝점 (P1) → 첫 번째 원점 지정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: 끝점 (P2) → 두 번째 원점 지정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/수평(H)/수직(V)/회전(R)]: (P3)

치수 문자 = 67.2

명령:  또는 DIMCONT [Enter]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4)

치수 문자 = 81.80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 끝점 (P5)

치수 문자 = 78.10

두번째 치수보조선 원점 지정 또는 [명령취소(U)/선택(S)] <선택(S)>: [Enter]

기준 치수 선택: [Enter]


2-3. Dimangular (각도 치수기입)

두 개의 평행하지 않은 직선 사이의 각 또는 원호의 내부 각을 표시한다. 이때 각도 값을 사용자가 수동 입력하는 경우에는 각도 표시에 대한 특수문자 <%%d>를 사용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각도 치수 


명령: Dimangular 또는 Dimang

호, 원, 선을 선택하거나 <정점 지정>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하나의 도면요소 선택

두번째 선 선택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다른 도면요소 선택

치수 호 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            → 각도 치수기입 위치 지정

치수 문자 = 30


(보기 1) 두 개의 직선이나 원호에 대하여 각도 표시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ANG [Enter]

호, 원, 선을 선택하거나 <정점 지정>: (S1 선택)

두번째 선 선택: (S2 선택)

치수 호 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1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치수기입 위치 지정

치수 문자 = 98.9


명령: 

호, 원, 선을 선택하거나 <정점 지정>: (S3 선택)

치수 호 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T [Enter]          → 치수문자 변경 옵션

새로운 치수 문자를 입력 <94>: 164%%D [Enter]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변경된 치수문자 입력

치수 호 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2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치수기입 위치 지정

치수 문자 = 164.2


2-4. Dimdiameter (지름 치수 기입)

원이나 호의 지름을 표시한다. 이때 지름 값을 사용자가 수동 입력하는 경우에는 지름 표시에 대한 특수문자 <%%c>를 사용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지름 치수 


명령: Dimdiameter 또는 Dimdia [Enter]

호 또는 원 선택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, 호 선택

치수 문자 =94.8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측정된 지름 값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    →원의 내부 점지정


(보기 1) 원 또는 호를 선택하여 지름을 기입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DIA [Enter]

호 또는 원 선택: (S1 선택)

치수 문자 =94.8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의 내부점 지정


명령: 

호 또는 원 선택: (S2 선택)

치수 문자 =94.8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T [Enter]

새로운 치수 문자를 입력 <90.75>: %%C95 [Enter]      → 변경 치수 문자 입력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의 외부 점


2-5. Dimradius (반지름 치수 기입)

원이나 호의 반지름을 표시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반지름 치수


명령: Dimradius 또는 Dimrad

호 또는 원 선택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, 호 선택

치수 문자 =44.4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측정된 반지름 값
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 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    → 원의 내부 점 지정


(보기 1) 선택된 원과 호에 대하여 반지름 치수기입을 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RAD [Enter]

호 또는 원 선택: (S1 선택) → 원, 호 선택

치수 문자 = 44.4 → 측정된 반지름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→ 원의 내부 점 지정


명령: 

호 또는 원 선택: (S2 선택)

치수 문자 =44.4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→ 원의 외부 점 지정


2-6. Dimleader (지시선 치수 기입)


(1) LEADER(지시)

치수기입 부분이 좁아서 치수 기입이 불가능하거나 부품 번호, 가공법 및 재질을 표시 하고자 할때 선 이나 스플라인 곡선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끌어내어 치수기입을 한다.


명령: Leader


(보기 1) 지시선 치수기입 및 허용공차 입력


명령: LEADER [Enter]

지시선 시작점 지정: (P1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시작점 지정

다음점 지정: (P2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다음 점 지정

다음 점 지정 또는 [주석(A)/형식(F)/명령취소(U)] <주석(A)>: [Enter]

주석 문자의 첫번째 행 입력 또는 <옵션>: M10x15 [Enter]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사용자 문자 입력

주석 문자의 다음 행을 입력: [Enter]


명령: LEADER [Enter]

지시선 시작점 지정: (P3)

다음점 지정: (P4)

다음 점 지정 또는 [주석(A)/형식(F)/명령취소(U)] <주석(A)>: [Enter]

주석 문자의 첫번째 행 입력 또는 <옵션>: [Enter]

주석 옵션 입력 [공차(T)/복사(C)/블록(B)/없음(N)/다중행문자(M)] <다중행문자(M)>: T [Enter]

→ 그림과 같이 기하학적 공차(Geometric Tolerance) 대화상자에서 공차값 입력


(보기 2) 도면에 이미 치수기입 되어 있는 지시선 치수기입을 선택하여 치수 문자를 그대로 복사한다.


명령: LEADER [Enter]

지시선 시작점 지정: (P1 지정)

다음점 지정: (P2 지정)

다음 점 지정 또는 [주석(A)/형식(F)/명령취소(U)] <주석(A)>: [Enter]

주석 문자의 첫번째 행 입력 또는 <옵션>: [Enter]

주석 옵션 입력 [공차(T)/복사(C)/블록(B)/없음(N)/다중행문자(M)] <다중행문자(M)>: C [Enter]

복사할 하나의 객체를 선택: (S1 선택)


(보기 3) 치수선과 화살표의 형태를 변경한다.


명령: LEADER [Enter]

지시선 시작점 지정: (P1 지정)

다음점 지정: (P2 지정)

다음 점 지정 또는 [주석(A)/형식(F)/명령취소(U)] <주석(A)>: F [Enter]

지시선 형식 옵션 입력 [스플라인(S)/직선(ST)/화살표(A)/없음(N)] <나가기(E)>: S [Enter]

다음 점 지정 또는 [주석(A)/형식(F)/명령취소(U)] <주석(A)>: [Enter]

주석 문자의 첫번째 행 입력 또는 <옵션>: M10 [Enter]

주석 문자의 다음 행을 입력: [Enter]


(2) QLEADER

대화상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시선 형태로 치수기입 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신속 지시선 


명령: Qleader [Enter]



(1) 지시선 설정값(Leader Settings) 대화상자의 주석(Annotation)탭을 선택한후 치수문자의 형태를 설정한다.


① 주석(Annotation Type)은 지시(LEADER) 명령에서 공부한 바와 같이 치수문자의 기입 방법을 지정한다.

② 다중행 문자 옵션(MText option)은 치수문자를 사각박스로 감싼다

③ 주석 재시용(Annotation Reuse)의 없음(None)을 선택하면 지시선 치수기입 할 때마다 치수문자를 입력하고, 다음에 재사용(Reuse Next)를 선택하면 새로 기입한 지시선 치수기입의 치수문자를 앞으로 이루어질 지시선 치수기입의 치수문자로 사용한다.


(2) 지시선 및 화살표(Leader Line & Arrow)탭을 선택한후 지시선 및 화살표의 형태를 설정한다.


① 지시 선(Leader Line)에서 직선 또는 스플라인 곡선으로 지시선의 형태를 선택한다.

② 점의 수(Number Of Point)는 지시선 치수기입시 지시선을 끌어내기 위해 지정하는 점(Point)의 최대 한계를 지정한다.

③ 화살촉(Arrowhead)에서 화살표의 모양을 선택한다.


④ 각도 구속조건(Angle Constraints)에서는 지시선의 기울기를 지정한다.


(3) 부착(Attachment)탭을 선택 한 후 치수문자의 삽입 기준점을 지정한다.


2-7. 종 좌표 치수 기입

종 좌표 치수 기입은 도면상의 특정 점을 원점(0,0)으로 지정 한 후 지정된 원점과 치수기입점 사이의 X축, Y축방향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치수 기입이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세로좌표치수 


명령: Dimordinate 또는 Dimord [Enter]

피쳐 위치를 지정: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 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

치수 문자 = [Enter]


X기준(X)(Xdatum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지정된 점의 X 좌표 값 표시

Y기준(Y)(Ydatum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지정된 점의 Y 좌표 값 표시

다중행문자(M)(Mtext)            다중문자 작성

문자(T)(Text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새로운 문자 작성

각도(A)(Angle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치수문자의 각도 조정


(보기 1) 원점(P1)을 설정 한 후 종 좌표 치수 기입을 한다.


명령: UCS [Enter]

현재 UCS 유형: *WORLD*

옵션 입력[신규(N)/이동(M)/직교(G)/이전(P)/저장(S)/삭제(D)/적용(A)/?/표준(W)]: O [Enter]

새로운 원점 지정 <0,0,0>: 끝점 (P1 지정)    → 원점 (P1) 지정


명령:  또는 DIMORD [Enter]

피쳐 위치를 지정: (P1 지정)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

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2 지정)        → 치수 기입 위치(P2)

치수 문자 = [Enter]


명령: 

피쳐 위치를 지정: 중심 (S1 선택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의 중심점 지정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

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3 지정)

치수 문자 = [Enter]


명령: 

피쳐 위치를 지정: 중심 (S2 선택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의 중심점 지정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

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4 지정)

치수 문자 = [Enter]


명령: 

피쳐 위치를 지정: (P1 지정)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

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5 지정)

치수 문자 = [Enter]


명령: 

피쳐 위치를 지정: 중심 (S3 선택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의 중심점 지정

지시선 끝점을 지정 또는

[X기준(X)/Y기준(Y)/다중행문자(M)/문자(T)/각도(A)]: (P6 지정)

치수 문자 = [Enter]


2-8. QDIM (빠른 치수 기입)

QDIM은 치수 기입할 도면요소를 선택만 하면 특정 치수기입 형태로 빠르게 자동 치수 기입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신속 치수 


명령: Qdim [Enter]

치수 기입할 형상 선택: (P1) → 치수 기입하기 위한 도면 요소 선택

반대 구석 지정: (P2)

치수 기입할 형상 선택: [Enter]→ 선택이 끝나면 <Enter>를 친다.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연속(C)/다중(S)/기준선(B)/세로좌표(O)/반지름(R)/지름(D)/기준점(P)/편집(E)] <연속(C)>:


연속(C)(Continuous)     치수 기입시 두 번째 점을 기준으로 새로운 형태의 치수 생성

기준선(B)(Baseline)     치수 기입시 첫 번째 점을 기준으로 새로운 형태의 치수 생성

세로좌표(O)(Ordinate)   세로 좌표 표시

반지름(R)(Radius)       반지름 표시

지름(D)(Diameter)       지름 표시

기준점(P)(DatumPoint)   원의 중심 표시

편집(E)(Edit)           치수 수정


(보기 1) 연속치수 기입을 한다.


명령:  또는 QDIM [Enter]

치수 기입할 형상 선택: (P1 지정)

반대 구석 지정: (P2 지정)

치수 기입할 형상 선택: [Enter]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연속(C)/다중(S)/기준선(B)/세로좌표(O)/반지름(R)/지름(D)/기준점(P)/편집(E)] <연속(C)>: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마우스 우측버튼 지정한후 연속(C)를 선택

치수선의 위치 지정 또는

[연속(C)/다중(S)/기준선(B)/반지름(R)/지름(D)/기준점(P)/편집(E)] <연속(C)>: (P3 지정)


2-9. TOLERANCE (공차)

형상 공차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으로 기계부품의 모양 및 위치의 정밀도, 허용치를 기호로서 표현하는 것이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공차 


명령: Tolerance


① 기호(Sym) 부분에 정밀도의 종류를 선택한다.

② 허용구역이 원 또는 원통일 경우 허용치 앞에 지름 기호를 입력한다.

③ 허용치와 재질 조건을 지정한다.

④ 높이(H_ )(Height) 부분에 투영공차 영역값을 입력한다.

⑤ 기준 식별자(D_ )(Datum identifer)는 동일 부분에 서로 다른 모양 및 위치정밀도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이론적으로 정확한 기하 참조이다.


2-10. 치수 유틸리티

(1) 중심표시 또는 중심선 그리기 (Center)

치수변수 <DIMCEN>의 값에 따라 원이나 호의 중심 표시나 중심선을 그린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중심 표식 


명령: Dimcenter

DIMCEN에 대한 새 값 입력 <2.5000>:          → 중심 표시


(보기 1) 치수변수 <DIMCEN>이 (+)값이면 중심 표시를 하고 (-)값이면 중심선을 그린다.


명령: DIMCEN [Enter]

DIMCEN에 대한 새 값 입력 <2.5000>: 0.5 [Enter]      → 중심 표시


명령:  또는 DIMCENTER [Enter]

호 또는 원 선택: (S1 선택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 선택


명령: DIMCEN [Enter]

DIMCEN에 대한 새 값 입력 <2.5000>: -0.5 [Enter]     → 중심선 그리기

명령: 

호 또는 원 선택: (S2 선택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원 선택


(2) STATUS

현 도면에서의 치수변수의 설정값들을 보여주며 “Dim" 상태에서만 사용할수 있다.


명령 : DIM [Enter]

치수 : Status


(3) EXIT

치수 기입상태를 종료하고 “명령(Command):" 상태로 복귀한다.

치수 : Exit [Enter]


(4) STYLE

미리 설정되어 있는 치수유형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현 도면에 치수 기입한다.

명령 : DIM [Enter]

치수 : Style [Enter]

새로운 문자 유형 <Standard>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새로운 치수 유형 입력


(5) SAVE(저장)

현재의 치수기입 유형을 저장한다.

명령 : DIM [Enter]

치수 : Save [Enter]


(6) RESTORE

저장된 치수기입 유형을 호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명령

명령 : DIM [Enter]

치수 : Restore [Enter]


2-11. 치수 편집 명령


(1) 치수문자 편집 (DIMTEDIT)

선택된 치수문자의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치수 문자 편집 


명령: Dimtedit

치수 선택: → 치수 선택

치수 문자에 대한 새로운 위치 또는 다음을 지정

[왼쪽(L)/오른쪽(R)/중심(C)/처음(H)/각도(A)]: → 옵션 선택


(보기 1) 치수문자의 위치와 각도를 변경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TEDIT [Enter]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툴바 또는 명령 입력

치수 선택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치수 선택

치수 문자에 대한 새로운 위치 또는 다음을 지정

[왼쪽(L)/오른쪽(R)/중심(C)/처음(H)/각도(A)]:        → 옵션 선택


(2) 치수 편집(DIMEDIT)

치수문자의 내용과 치수보조선의 기울기를 변경한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치수 편집 


명령: Dimedit


(보기 1) 치수 문자의 내용을 수정한다.


명령:  또는 DIMEDIT [Enter]

치수 편집의 형태 입력 [처음(H)/신규(N)/회전(R)/기울기(O)] <처음(H)>: N [Enter]

※ 대화상자 안에서 변경하고자하는 새로운 치수문자(88) 입력

객체 선택: (S1) 1개를 찾음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→ 치수(87.5)선택

객체 선택: [Enter]


(보기 2) 선택된 치수보조선의 기울기를 변경한다.


명령: 

치수 편집의 형태 입력 [처음(H)/신규(N)/회전(R)/기울기(O)] <처음(H)>: O [Enter]

객체 선택: (S1 선택)

객체 선택: [Enter]

기울기 각도 입력 (없는 경우 엔터키): 45 [Enter]


(3) 업데이트(UPDATE)

선택된 치수의 유형을 새로 변경된 치수변수 값에 맞게 갱신시키며 이후의 치수 기입은 새로 입력한 치수 변수 값에 의해 이루어진다.


◈ 사용 방법

도구막대(Toolbar) : 뷰 → 도구막대 → 치수 → 치수 업데이트 


명령 : DIM [Enter]

치수 : Update 또는 UP [Enter]

객체 선택 : ALL [Enter]→ 변경 도면 요소 선택 (All : 모두 선택)

객체 선택 : [Enter]


(보기 1) 도면의 치수기입이 KS 제도 규격과 다르게 기입된 경우 모두 지우고 다시 기입하지 않고 갱신하는 방법


※ 치수변수 <DIMTAD>가 <0>인 상태에서 기준선 치수기입 한다.


명령 : DIMTAD [Enter]

DIMTAD에 대한 새 값 입력 <1>: 1 [Enter]


명령:    → 툴바 선택

객체 선택 : ALL [Enter]

객체 선택 : [Enter]


2-12. DDIM

앞에서 공부한 내용을 살펴보면 우리는 치수 기입 유형을 설정하기 위해 치수 변수의 값을 변경하였다. 그러나 이 방법은 수십 가지의 치수 변수 명을 모두 기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번에는 치수유형 설정 대화상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치수 형상에 따른 치수 변수 값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사용한다.









반응형